Super Kawaii Cute Cat Kaoani
본문 바로가기
👩‍💻 Project

[서버구축실습] 걷담 프로젝트 회고록

by wonee1 2025. 9. 26.
728x90

 

걷담 프로젝트 회고록

 
 

 

본 포스트는 3학년 1학기 전공 수업인 서버 구축 및 실습 수업에서 진행한 걷담 프로젝트 회고록입니다.

 

 

 
 
 
 

1. 프로젝트 배경과 목표 

걷기 담기 좋은 도시를 담다, 걷담 

 
 
 
기존 지도 서비스는 특정 장소 검색 및 경로 안내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저희 팀은 ‘걷는 경험 자체’를 공유하는 서비스에 주목했습니다. 단일 장소 중심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만든 루트를 공유하고, 북마크·리뷰·별점 평가를 통해 함께 걷는 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플랫폼 을 만들고자 걷담 프로젝트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2. 주요 기능 소개  

 
 

 
 

 
 

 
 
 
 

3. 기술적 도전과 설계 

 
 
  1. ERD 설계 
 

erd 다이어그램

 
 

cloud erd에서 설계를 진행했습니다. 초기 erd에서 수정된 다음 나온 최종 erd 입니다. 

 

 


 
 
  2. API 명세서 설계 
 
 


 
 
  3. 협업 방식 

 

이슈를 통한 확실한 작업 내용을 관리 명확한 커밋 컨벤션을 통해 일관된 커밋 메세지 내역을 관래했습니다. 

 


 

 

4. 개발 역할 

 

 
 

 

저는 다음과 같은 개발을 담당했습니다. 

 

 
 
1. 경유 기반 경로 추천 및 시각화 
 
 

 
 
2. 장소 검색 및 장소 상세 정보 병합 
 



 
 
 
 
 

4. 트러블 슈팅

 

Google Map API 에서 대한민국을 지원하지 않음

 

- API 문서가 복잡하게 적혀있어 해당 부분을 미리 확인하지 못하였고 기획과 같이 구현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상세 정보 제공이 제한적이고 , 일부 카테고리는 아예 반환이 안되거나 "ZERO_RESULTS" 오류가 반환되었습니다 .

해당 API 작업을 선행적으로 진행하도록 계획을 수립했기 때문에 TMAP API 를 이용하는 것으로 빠르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
 

 

5. 배운 점과 아쉬움


 

걷담 프로젝트는 다양한 외부 API를 연동해 실시간 경로 추천과 장소 리뷰 기능을 제공하는 지도 기반 웹 서비스였어요. 팀원들과 함께 기획부터 설계, 구현까지 전 과정을 협업하면서 개발 경험을 쌓을 수 있었던 의미 있는 프로젝트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API 통합 설계, 실시간 데이터 처리, 지도 시각화, 사용자 리뷰 시스템 설계까지 폭넓게 배울 수 있었고, 팀원들과 소통하며 역할을 분담하고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는 협업 역량도 키울 수 있었습니다. 특히 Tmap API와 Google Places API를 병합해 부족한 데이터를 보완하고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로직을 직접 설계하면서, 외부 API의 응답 형식을 파악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체득할 수 있었습니다. 또 제가 맡았던 Sequelize ORM 초기 설정에서는 DB 관계 설계와 쿼리 구조를 고민하면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코드 작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프로젝트는 그동안 주로 백엔드만 맡아왔던 저에게 새로운 도전이었습니다. 그동안엔 백엔드 개발만 했었어서 프론트가 어떻게 동작되는 지 잘 몰랐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직접 프론트엔드에 API를 연동하면서 백엔드와 프론트엔드가 어떻게 연결되고 동작하는지를 몸소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 학기에는 GitHub 기반 오픈소스 과목을 수강할 때, 단순히 코드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 구조를 분석하고, 이슈를 해결하거나 기능을 제안하며 프로젝트를 성장시켜나가고 싶습니다.

 

 

또한 처음에는 프론트엔드를 제가 제대로 구현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았는데, 팀원분의 친절한 가이드 덕분에 무사히 해낼 수 있었습니다. 또 프로젝트 평가에서 DB 설계 부분에서 점수가 깎인 것이 아쉬움으로 남았는데, 이를 계기로 개발할 때 설계를 더 꼼꼼히 하는 습관을 길러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특히 이번 학기에 함께 들은 설계 수업 덕분에, 앞으로는 구현뿐 아니라 설계에도 더 신경을 쓰며 프로젝트를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깃허브 링크 

 
https://github.com/geotdam/geotdam-frontend

 

GitHub - geotdam/geotdam-frontend: 걷담 프론트엔드

걷담 프론트엔드 . Contribute to geotdam/geotdam-fronte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https://github.com/geotdam/geotdam-server

 

GitHub - geotdam/geotdam-server: 걷담 서버

걷담 서버 . Contribute to geotdam/geotdam-serv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시연 영상 

https://youtu.be/ZJQyDxierW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