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Kawaii Cute Cat Kaoani
본문 바로가기

💾 lecture51

[기계학습] Multilayer Perceptron : MLP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10. 17.
[기계학습] Perceptron Perceptron의 구조 입력층과 출력층을 가진다 이때 입력층은 연산을 하지 않으므로 퍼셉트론은 단일층 구조라고 간주한다. 입력층의 i 번째 노드는 특징 벡터의 요소 xi를 담당한다. 이때 항상 입력값으로 1을 받는 것은 바이어스 노드이다. (바이어스 노드를 따로 계산할 때 더하는 것이 아닌 처음부터 입력으로 포함키는 것이다.) i 번째 입력층 노드와 출력층을 연결하는 선은 가중치 wi를 가진다. 이때 w0는 바이어스이다. Perceptron의 동작 해당하는 특징값과 가중치를 곱한 결과를 모두 더하여 s 를 구하고 활성함수 T를 적용한다. 이때 활성함수로 계단함수를 사용하므로 최종 출력 y 는 +1 또는 -1 이다. ⭐퍼셉트론으로 OR 논리 게이트 분류 문제 해결이 가능.. 2025. 10. 17.
[기계학습] 선형대수학 - 행렬 Matrix — 선형대수학과 기계학습의 핵심 행렬(Matrix)의 개념 여러 벡터를 모은 2차원 숫자 배열을 말한다. 훈련집합의 특징들을 행 또는 열로 표현한 것도 행렬이라고 할 수 있다. 행렬은 다항식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고 벡터화를 통한 고속 연산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Iris 데이터셋에서 150개의 샘플과 4개의 특징(feature)을 가진다면전체 데이터는 X∈R ^150×4 로 표현된다. 행렬 A의 전치행렬 행과 열을 바꾼 행렬을 전치 행렬이라고 한다. 특수한 행렬들 정사각행렬: 행과 열의 수가 같은 행렬 대각행렬: 주 대각선을 제외한 모든 항들이 0 단위행렬: 대각행렬이면서, 대각선의 항들이 모두 1 대칭행렬: n x n 행렬이 A = A^T이다. .. 2025. 10. 16.
[기계학습] 선형대수학 정리 - 벡터 기계학습에서 나오는 선형대수학을 정리한 글입니다. 벡터의 개념과 표현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양으로, 수학적으로는 n차원 공간의 한 점을 나타내는 n개의 수의 집합을 말한다. 물리학에서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값을 의미하며 화살표로 표현한다. 이때 화살표의 길이는 벡터의 크기를 나타내고 화살표의 방향은 벡터의 방향을 나타낸다. 벡터는 값들의 모임(tuple)이며, 각 성분(component)에는 순서(order)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굵은 소문자(bold lowercase)로 표기한다. 스칼라(scalar): 크기만 있는 수 (예: 온도 25℃, 질량 10kg)벡터(vector): 크기와 방향이 있는 수 (예: 속도, 힘, 변위 등) 벡터의 종류 열벡터: 원소의 배열이 .. 2025. 10. 16.
[정보보호] 스니핑 공격 스니핑 공격이란? 스니핑(Sniffing) 공격은 네트워크 상을 지나다니는 데이터 패킷을 몰래 엿보며 정보를 가로채는 해킹 기법을 말한다. 공격할 때 아무것도 하지 않고 조용히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수동적 공격이라고도 한다. 즉,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 네트워크에서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행위.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에 사용할 수도 있고, 악의적 목적으로 해커(hacker)가 네트워크 패킷을 엿보면서 데이터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을 말하기도 한다. 스니핑 공격 예시 1. 전화선이나 UTP에 태핑을 해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정보를 찾아내는 것2. 전기적 신호를 템페스트 장비로 분석하는 것 태핑? 더보기네트워크나 통신 회선(케이블, 광선, 무선 신호 등)에 몰래 접속하여 데이터 신호를 엿듣는 .. 2025. 10. 10.
[정보보호] WPA-EAP vs WPA-PSK WPA란? 무선 네트워크(와이파이)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보안 표준을 말한다. 와이파이 보호 접속(Wi-Fi Protected Access, WPA, WPA2)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감시 하에 수행하는 인증 프로그램으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가 책정한 보안 프로토콜 네트워크 장비가 준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와이파이 보호 접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와이파이 보호 접속(Wi-Fi Protected Access, WPA, WPA2)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감시 하에 수행하는 인증 프로그램으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가 책정한 보안 프로토ko.wikipedia.org WPA-Personal (WPA 개인모드) W.. 2025. 10. 8.
[GCP] SSH로 GCP 접속하는 방법 🔽브라우저에서 접속도 가능합니다. https://cloud.google.com/compute/docs/ssh-in-browser?hl=ko 브라우저에서 SSH를 통해 연결 | Compute Engine Documentation | Google CloudimageFamilyViewscloud.google.com GCP에서 인스턴스를 생성 후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방법으론 두가지가 있습니다. 브라우저에서 직접 접속하는 방식이랑 터미널에서 SSH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선 SSH로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인스턴스부터 생성해야합니다. 인스턴스 생성은 다음 게시물에 정리해두었습니다. [GCP] VM 인스턴스 생성 및 초기 설정본 포스팅은 GCP(Google C.. 2025. 9. 26.
[컴파일러] 3주차 Grammar Basic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9. 16.
[컴파일러] Programming Language Basics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