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Kawaii Cute Cat Kaoani
본문 바로가기

{Lecture}/Machine Learning4

[기계학습] Multilayer Perceptron : MLP Multilayer Perceptron 퍼셉트론은 선형 분류기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XOR 문제에서 선형 분리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일정한 양의 오류가 발생했다. 이러한 퍼셉트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MLP가 나오게 되었다. ⭐ MLP의 핵심 아이디어 1. 은닉층 추가 (Hidden Layer)입력층(Input Layer)과 출력층(Output Layer)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은닉층을 둠.단층 퍼셉트론은 선형 분리 문제만 해결할 수 있지만,은닉층이 생기면 비선형 관계를 학습할 수 있음.즉, 입력 특징 공간을 더 분류하기 쉬운 고차원 공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함 2. 시그모이드 활성함수 도입 (Sigmoid Activation)출력이 0~1 사이의 연속적인 실수값을 갖게 됨.이를 확률적 해석.. 2025. 10. 17.
[기계학습] Perceptron Perceptron의 구조 입력층과 출력층을 가진다 이때 입력층은 연산을 하지 않으므로 퍼셉트론은 단일층 구조라고 간주한다. 입력층의 i 번째 노드는 특징 벡터의 요소 xi를 담당한다. 이때 항상 입력값으로 1을 받는 것은 바이어스 노드이다. (바이어스 노드를 따로 계산할 때 더하는 것이 아닌 처음부터 입력으로 포함키는 것이다.) i 번째 입력층 노드와 출력층을 연결하는 선은 가중치 wi를 가진다. 이때 w0는 바이어스이다. Perceptron의 동작 해당하는 특징값과 가중치를 곱한 결과를 모두 더하여 s 를 구하고 활성함수 T를 적용한다. 이때 활성함수로 계단함수를 사용하므로 최종 출력 y 는 +1 또는 -1 이다. ⭐퍼셉트론으로 OR 논리 게이트 분류 문제 해결이 가능.. 2025. 10. 17.
[기계학습] 선형대수학 - 행렬 Matrix — 선형대수학과 기계학습의 핵심 행렬(Matrix)의 개념 여러 벡터를 모은 2차원 숫자 배열을 말한다. 훈련집합의 특징들을 행 또는 열로 표현한 것도 행렬이라고 할 수 있다. 행렬은 다항식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고 벡터화를 통한 고속 연산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Iris 데이터셋에서 150개의 샘플과 4개의 특징(feature)을 가진다면전체 데이터는 X∈R ^150×4 로 표현된다. 행렬 A의 전치행렬 행과 열을 바꾼 행렬을 전치 행렬이라고 한다. 특수한 행렬들 정사각행렬: 행과 열의 수가 같은 행렬 대각행렬: 주 대각선을 제외한 모든 항들이 0 단위행렬: 대각행렬이면서, 대각선의 항들이 모두 1 대칭행렬: n x n 행렬이 A = A^T이다. .. 2025. 10. 16.
[기계학습] 선형대수학 정리 - 벡터 기계학습에서 나오는 선형대수학을 정리한 글입니다. 벡터의 개념과 표현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양으로, 수학적으로는 n차원 공간의 한 점을 나타내는 n개의 수의 집합을 말한다. 물리학에서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값을 의미하며 화살표로 표현한다. 이때 화살표의 길이는 벡터의 크기를 나타내고 화살표의 방향은 벡터의 방향을 나타낸다. 벡터는 값들의 모임(tuple)이며, 각 성분(component)에는 순서(order)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굵은 소문자(bold lowercase)로 표기한다. 스칼라(scalar): 크기만 있는 수 (예: 온도 25℃, 질량 10kg)벡터(vector): 크기와 방향이 있는 수 (예: 속도, 힘, 변위 등) 벡터의 종류 열벡터: 원소의 배열이 .. 2025.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