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Kawaii Cute Cat Kaoani
본문 바로가기
🏃‍♀️ 대외활동/Draconist - 소모임

[Draconist] EC2 설정 및 RDS 연결

by wonee1 2025. 7. 19.
728x90

 

Draconist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희소식 배포 및 CICD 설정을 기록해보았습니다. (나중에 배포 과정 기억 안 날 때 참고할 수 있게)

 

⭐위의 블로그를 참고하여 실습 진행하였습니다! 

https://turtle0204.tistory.com/entry/springboot-With-React-NATIVE-project-04-EC2%EB%B6%80%ED%84%B0-RDS-%EC%97%B0%EA%B2%B0%ED%95%98%EA%B8%B0

 

04. EC2부터 RDS 연결하기 (SpringBoot)-DRACONIST

학습 목표)1)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초기 설정하기2) 탄력적 IP 연결하기3) RDS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초기 설정하기4) 내 프로젝트와 RDS 연결하기 이번글에서는 나의 Spring Boot 데모 프로젝트를 원

turtle0204.tistory.com

 

 

 


 

 

1. EC2 생성 및 탄력적 주소 IP 설정

 

💠 EC2 생성하기 

1) AWS 콘솔 접속

 

 

2) EC2 대시보드 → 인스턴스 시작 (Launch Instance)

 

 

3) 인스턴스 이름

4) AMI 선택 (운영 체제)

  • 프리티어 지원 가능한 AMI로 선택해주었습니다. (Amazon Linux 2023 또는 Ubuntu 22.04 LTS)

 

 

5) 인스턴스 유형

  • 프리티어: t2.micro 또는 t3.micro

 

6) 키 페어 설정

  • 기존 키 선택 or 새 키 페어 생성 (.pem 파일 꼭 저장 할 것) 

 

7) 네트워크 설정

  • 퍼블릭 IP 자동 할당 체크
  • 보안 그룹 생성 (포트 설정)

 

8) 스토리지 확인

  • 기본 8GB 이상으로 설정 (필요시 증가 가능)

 

9) 인스턴스 시작 (Launch Instance)

 

💠탄력적 주소 설정

 

1) 탄력적 IP 주소 할당

  • 왼쪽 메뉴에서 "탄력적 IP" 클릭

 

 

  • "탄력적 IP 주소 할당" 클릭

 

 

  • 네트워크 → VPC 선택
  • 설정 그대로 두고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 클릭

 

 

2) 탄력적 IP 주소 EC2 인스턴스에 연결

  • 방금 생성된 탄력적 IP 선택 후 "작업 > 탄력적 IP 주소 연결" 클릭

 

 

 

⭐ 탄력적 IP는 사용 중일 때는 무료  하지만 EC2에 연결하지 않은 채로 보유 중이면 과금 됩니다.

→ 따라서 필요 없는 IP는 반드시 해제 후 릴리스해야 합니다!

 

 

 

 

접속 결과

 

 


 

2. EC2 인스턴스 초기환경 세팅

 

💠타임존 변경

 

한국은 UTC+9(KST, Korea Standard Time) 이고, AWS EC2 인스턴스 기본 시간대는 UTC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타임존을 KST로 변경해야 로그나 시간 관련 작업이 맞게 동작합니다.

 

 

🔹 KST(Asia/Seoul)로 타임존 변경 및 확인

 

 

💠호스트 이름 변경

 

호스트 이름 변경은 다음 블로그에서 참고!

 

AWS ec2 (Ubuntu) Hostname 변경하기

 

AWS ec2 (Ubuntu) Hostname 변경하기

Ubuntu에서 Hostname 변경하기 위 그림과 같이 호스트이름이 IP 번호 형태로 보여진다. 이를 본인이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과정 1. /etc/hosts $ sudo vi /etc/hosts 위 명령을 치면 아래와 같은 화

soobarkbar.tistory.com

 

 

 

 


 

 

 

3. EC2에 RDS 연결

 

 

💠 RDS 생성

 

1) RDS 대시보드로 이동

  • AWS 콘솔 접속 → 상단 검색창에서 RDS 입력 → 클릭
  • 왼쪽 메뉴에서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2) 데이터베이스 생성 유형 선택

 

 

3) 엔진 선택

 

 

4) DB 인스턴스 설정

템플릿
Free tier (무료 사용층) / 개발용 등
DB 인스턴스 식별자
예: mydb-instance
마스터 사용자 이름
admin 또는 원하는 이름
비밀번호
적절히 강력하게 설정
비밀번호 확인
동일하게 입력

 

 

 

5) 인스턴스 구성 설정 

 

 

6) 템플릿 설정 

 

  • 프리 티어로 설정해준다.

 

 

7) 스토리지 설정 

 

 

 

 

 

 

 

 

💠 파라미터 그룹 생성

 

 

Parameter Group은 RDS에서 사용하는 DB 엔진(예: MySQL, PostgreSQL 등)의 DB 설정값들을 모아둔 설정 그룹입니다.
기본적으로 RDS는 default 파라미터 그룹을 사용하지만, 이를 커스터마이징하려면 사용자 정의 파라미터 그룹을 생성해야 합니다.

 

 

  1. “파라미터 그룹 생성” 클릭
  2. 아래 항목 입력:
파라미터 그룹 유형
DB Parameter Group (또는 DB Cluster Parameter Group for Aurora)
DB 엔진
예: mysql8.0
그룹 이름
my-mysql-params
설명
My custom MySQL params 등 설명 작성

 

 

 

 

 

 

💠 파라미터 값 수정

  1. 생성된 그룹 클릭
  2. 원하는 파라미터 검색 (예: max_connections, character_set_server 등)
  3. 값을 수정한 후, 저장

 

💠파라미터 그룹 적용 방법

  • 기존 RDS 인스턴스에 적용하려면:

 

💠보안 그룹 수정하기

  1. AWS 콘솔 → EC2 서비스로 이동
  2. 왼쪽 메뉴에서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 그룹” 클릭
  3. 아까 확인한 보안 그룹 ID 검색 → 클릭
  4. 인바운드 규칙 탭 → 편집 클릭

 

 

💠인바운드 규칙 추가

유형
MySQL/Aurora
프로토콜
TCP
포트 범위
3306
소스
 
  • 내 IP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에서만 접속할 경우)
  • EC2의 보안 그룹 (EC2 인스턴스에서만 접근할 경우)
  • Anywhere (0.0.0.0/0) → 테스트용만 권장
🔐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보안상 내 IP 또는 EC2 보안 그룹 지정이 안전합니다.

 


 

4. 인텔리제이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하기

 

 

 

 

1) Data Source 창 열기

  1. IntelliJ 오른쪽 상단 또는 왼쪽 Database 탭 클릭
    (없으면 View > Tool Windows > Database)
  2. 상단 + 버튼 클릭 → Data Source → 예: MySQL, PostgreSQL, Oracle 등 선택

 

2) 접속 정보 입력

 

 

MySQL 기준

Host localhost 또는 외부 IP
Port 3306 (MySQL 기본)
User root 또는 사용자 계정
Password DB 비밀번호
Database 연결할 DB 이름 (없으면 전체 목록 확인 가능)

 

 

  3) 드라이버 다운로드

  • 처음 설정 시 우측에 Download Driver 버튼이 보임 → 클릭하여 JDBC 드라이버 자동 설치
  • 설치 완료되면 빨간 경고 아이콘 사라짐

4) 연결 테스트 및 완료

  • Test Connection 클릭 → 성공 시 초록 불
  • 하단 OK 또는 Apply 클릭

5) 연결 후 사용

  • 연결된 DB의 테이블, 뷰, 프로시저 등 탐색 가능
  • 마우스 우클릭 → Jump to Data, New Query Console로 SQL 작성 가능

 

 

 

 

 
연결 후 생성되는 데이터베이스
 

 

타임존 확인

 

 


 

 

5. EC2에서 RDS접근 확인

 

 

💠Ubuntu에서 MySQL 8 설치 및 설정 요약

 

1️⃣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mysql-server -y
 

→ Ubuntu 기본 저장소의 MySQL은 일반적으로 MySQL 8.0입니다.

 

 

2️⃣ MySQL 버전 확인

mysql --version

 

3️⃣ 서비스 상태 확인 및 시작

sudo systemctl status mysql  #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rt mysql   # 실행
sudo systemctl enable mysql  # 부팅 시 자동 실행

 

4️⃣ root 비밀번호 없이 접속 (기본 설정일 경우)

 
sudo mysql
 
  • Ubuntu에서는 auth_socket 인증이 기본이라 sudo로 root 권한을 얻은 상태에서만 접속됩니다.
  • 만약 password 기반 인증을 원한다면 아래 단계로 전환 가능

 

 

💠RDS에 MySQL 클라이언트로 접속 명령어

 
mysql -u [사용자이름] -p -h [RDS 엔드포인트]
 
  • u: 사용자명 (보통 RDS 생성 시 입력한 마스터 사용자 이름, 예: admin)
  • p: 비밀번호는 입력 생략하고 엔터 치면 프롬프트에서 따로 묻습니다
  • h: RDS의 엔드포인트 주소 (예: goodnews-rds.ap-northeast-2.rds.amazonaws.com)
확인 결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