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피피티엔 없지만 교수님이 언급하셨던 명령어 및 개념 정리
✅ man -s 2 또는 man 2란?
man 명령어는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서 명령어나 함수의 설명서를 보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야.
이때, 섹션 번호를 지정해주면, 특정 카테고리의 매뉴얼을 바로 열 수 있어.
🚩-s 2의 의미
-s 옵션은 man 명령어에서 섹션 번호(section number)를 지정할 때 사용돼.
즉, man -s 2 open 은 다음과 같은 의미야:
섹션 2번(man page section 2)에 있는 open 함수에 대한 설명을 보여줘.
🚩man page 섹션 번호 요약

✅ finger 명령어
🚩 개요
finger는 사용자 정보를 자세하게 출력해주는 명령어야.
🚩 주요 정보
- 사용자의 이름(full name)
- 로그인한 터미널 정보
- 접속 시간, 유휴 시간
- 홈 디렉토리, 쉘
- .plan, .project 파일 내용 (있을 경우)
Login: chaewon Name: Chae Won
Directory: /home/chaewon Shell: /bin/bash
On since Tue Apr 16 09:24 (KST) on tty2
Idle time: 2 minutes
✅ who 명령어
who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목록을 출력하는 단순한 명령어
🚩주요 정보
- 로그인한 사용자 ID
- 접속 중인 터미널
- 로그인 시간
- (옵션에 따라) 로그인한 IP 또는 호스트 정보
🚩사용 예시
#!/bin/bash
echo "Hello, world!"
#!/usr/bin/python3
print("Hello from Python!")
✅ 쉐뱅(Shebang)이란?
쉐뱅(Shebang)은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 파일을 어떤 인터프리터로 실행할지를 지정하는 행
스크립트 파일의 첫 줄에 #! (샵 + 느낌표) 뒤에 실행할 인터프리터 경로를 적는다
#!/bin/bash
- 터미널에서 ./myscript.sh처럼 실행할 때,
- 쉐뱅이 있으면 해당 경로의 인터프리터로 실행됨.
- 쉐뱅이 없으면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bash myscript.sh처럼 실행해야 함.

✅ 주요 리눅스 시스템 디렉토리
디렉토리 | 역할 및 내용 |
/etc | 시스템 설정파일 모음 |
/dev | 로그파일, 이메일, 캐시 등 변하는 데이터 저장. |
/bin | 기본 명령어 (ls, cp, rm 등) |
/tmp | 임시파일 저장소, 재부팅 시 비움 |
/usr | 사용자 앱/라이브러리/도움말 저장소 (사용자 프로그램 설치용) |
/home | 일반 사용자들의 개인 폴더 (예: /home/chae) |
/sbin | 시스템 관리용 명령어 저장. (shutdown, reboot 등). 주로 관리자(root)가 사용 |
- /bin vs /usr/bin
→ 둘 다 실행파일 디렉토리이지만
/bin: 시스템 부팅에 꼭 필요한 필수 명령어
/usr/bin: 일반적인 유틸리티 및 사용자용 명령어 - /etc에 있는 건 모두 설정파일!
728x90
'{Lecture} > System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과제 기록 (0) | 2025.07.19 |
---|---|
[시스템 프로그래밍] 3장 파일다루기 Part 1 (0) | 2025.04.01 |
[시스템 프로그래밍] 2장 파일 시스템 정리 (0) | 2025.04.01 |
[시스템 프로그래밍] LINUX 소개 Part 2 (0) | 2025.03.25 |
[시스템 프로그래밍] LINUX 소개 Part 1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