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파이썬에서 슬라이싱이란?
리스트, 문자열, 튜플 같은 시퀀스 자료형에서 특정 범위의 값을 잘라내는 방법을 말한다.
시퀀스[start:stop:step]
start: 시작 인덱스 ( 이 인덱스는 포함 생략 시 기본값 0)
stop : 끝 인덱스 (포함하지 않는다 생략 시 기본값은 시퀀스의 끝)
step: 간격 (몇 칸씩 건너뛸지 생략 시 기본값 1 )
예제와 설명
리스트에서 슬라이싱
arr = [10, 20, 30, 40, 50]
# 인덱스: 0 1 2 3 4
# 음수: -5 -4 -3 -2 -1
1. 기본 슬라이싱
arr[1:4] # [20, 30, 40]
2. 생략된 값들
arr[:3] # [10, 20, 30] → 처음부터 3 전까지
arr[2:] # [30, 40, 50] → 2부터 끝까지
arr[:] # [10, 20, 30, 40, 50] → 전체
3. step 사용
arr[::2] # [10, 30, 50] → 2칸씩 건너뛰기
arr[1::2] # [20, 40] → 1부터 시작해서 2칸씩
4. 음수 인덱스 사용
arr[-4:-1] # [20, 30, 40]
- 뒤에서부터 4번째부터, 뒤에서 1번째 전까지
5. 역순 슬라이싱
arr[::-1] # [50, 40, 30, 20, 10]
- step을 -1로 하면 뒤집힌 순서로 나옴
* 문자열에서도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s = "Python"
s[0:2] # 'Py'
s[2:] # 'thon'
s[::-1] # 'nohtyP' ← 문자열도 역순 가능
728x90
'💻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클래스 정리 (0) | 2023.02.26 |
---|---|
[Python] csv 파일 입출력 (0) | 2023.01.22 |
[Python] 파일 입출력 기본 (0) | 2023.01.22 |
[Python] 과제 10주차 (0) | 2023.01.08 |
[Python] 과제 9주차 (0) | 2023.01.08 |